달에 남겨진 발자국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뭘까?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닐 암스트롱이 달에 첫 발을 내디뎠을 때 남긴 발자국은 인류가 처음으로 외계 천체에 남긴 흔적이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이 있습니다. 그 발자국은 아직도 달에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입니다. 왜 수십 년이 지났는데도 흔적이 지워지지 않고 유지되는 것일까요?
달에는 ‘바람’이 없다
지구에서 발자국은 시간이 지나면 바람이나 비에 의해 쉽게 사라집니다. 하지만 달에는 대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도 없습니다. 이 말은 즉, 발자국을 흩날릴 외부 힘이 없다는 것입니다.
지구의 경우 바람은 흙과 모래를 이동시키며 표면을 변화시키지만, 달은 완전히 정적인 환경이기 때문에, 누군가 움직이지 않는 한 표면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달의 표면은 어떤 상태일까?
달의 표면은 ‘레골리스(Regolith)’라고 불리는 미세한 먼지와 부서진 암석으로 덮여 있습니다. 이 레골리스는 수백만 년 동안 소행성 충돌과 태양풍의 영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입자가 매우 고우면서도 뾰족하고 정전기를 띠는 특성을 가집니다.
이 덕분에 우주인의 발자국은 레골리스에 깊이 찍히고,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오랜 시간 유지됩니다.
비도, 물도 없다
지구에서는 비가 흙을 쓸어내리고, 물의 흐름이 지형을 바꾸기도 합니다. 하지만 달에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지 않고, 기후 변화도 없습니다. 따라서 침식 작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한 번 남긴 자국은 지워지지 않습니다.
충돌로 인한 위험은 없을까?
달 표면은 지구보다 훨씬 많은 미세 운석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 미세 입자들은 시속 수만 km의 속도로 떨어져 표면에 흔적을 남기지만, 발자국 전체를 덮어버릴 정도의 충돌은 흔치 않습니다.
물론 수백만 년이 흐른다면 작은 입자 충돌이 누적되어 발자국을 흐릿하게 만들 수는 있지만, 현재로서는 수십 년이 지나도 거의 그대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폴로 발자국은 실제로 관측 가능한가?
달 궤도를 도는 NASA의 탐사선 ‘LRO(Lunar Reconnaissance Orbiter)’는 아폴로 착륙지 주변을 고해상도로 촬영한 바 있습니다. 비록 직접적인 ‘발자국’은 관측이 어렵지만, 우주비행사들의 이동 경로, 장비의 위치, 착륙선의 자취 등은 명확히 확인됩니다.
즉, 인류의 흔적은 아직도 달에 생생하게 남아 있다는 것이죠.
영원히 남아 있을까?
이론적으로는 달의 환경이 크게 바뀌지 않는 이상, 수만 년 이상도 발자국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형 운석 충돌, 태양풍의 극단적인 변화 등 예외적인 사건이 발생하면 훼손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현재까지는 인류가 남긴 가장 오래가는 발자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 바람도, 비도, 생명도 없는 곳
달은 지구와 달리 대기가 없고 기상 변화가 전혀 없는 정적인 공간입니다. 그 덕분에 한 번 남긴 발자국은 오랜 시간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이죠.
이처럼 달은 시간이 멈춘 듯한 장소이며, 우리가 남긴 작은 흔적 하나하나가 우주의 역사로 남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다음 이야기 예고
다음 글에서는 “지구 밖 우주선 충돌사고가 실제로 있었을까?”라는 흥미로운 주제를 통해, 실제 발생한 우주선 간 충돌 사례와 우주 교통 안전 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