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서 소리가 들릴까?
SF 영화 속 우주 장면을 보면 거대한 폭발음이나 전투기 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하지만 과연 실제 우주에서도 그런 소리가 들릴까요? 우리가 알고 있는 소리는 공기 중에서 전달되는 진동인데, 우주는 대부분 진공 상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주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과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소리는 어떻게 전달될까?
소리는 공기, 물, 금속 같은 물질 속에서 입자들이 진동하며 퍼져나갑니다. 이때 중요한 건 '매질', 즉 소리를 전달해 줄 물질이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공기 중에서는 우리 목소리나 음악처럼 다양한 소리가 전달되지만, 진공 상태에서는 이를 전달할 매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리는 퍼지지 않습니다.
우주는 대부분 완전한 진공에 가까운 환경입니다. 공기 분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아무리 큰 소리를 내도 그것이 주변에 전달되지 않습니다. 즉, 우주에서는 실제로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누군가 우주 공간에서 외친다고 해도, 그 소리는 그 사람의 헬멧 안에서만 존재할 뿐, 바깥으로는 퍼지지 않죠.
우주에서도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그런데 NASA는 종종 '우주의 소리'라는 이름으로 음향 자료를 공개합니다. 이는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 사실 그 소리들은 실제 음파가 아니라, 우주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나 플라스마의 진동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역대로 '변환'한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목성의 자기장, 태양 폭발, 블랙홀 주변의 활동 등에서 생긴 데이터를 소리처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발생한 플라스마 진동 데이터를 소리로 바꾸면 '웅웅'거리는 낮은 음이 들리는데, 이는 실제 음파는 아니지만 그 에너지의 형태를 청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방법을 통해 우주의 물리적 활동을 보다 직관적으로 분석하고 공유하고 있습니다.
소리가 실제로 존재하는 우주의 영역은?
우주 전체가 완전한 진공은 아닙니다. 성운이나 행성의 대기처럼 입자가 밀집된 공간에서는 소리가 어느 정도 전달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성에는 얇은 대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소리가 아주 작게나마 전달됩니다. 2021년 NASA의 퍼서비어런스 탐사선은 실제로 화성에서 바람 소리를 녹음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우주선 내부나 우주복 안처럼 공기가 있는 밀폐된 공간에서는 당연히 소리가 잘 전달됩니다. 우주비행사들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즉, ‘우주 전체’가 무음의 공간이라는 말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우주의 대부분’이 그렇다는 말로 이해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영화 속 우주 소리는 사실일까?
우주 영화에서는 몰입감을 위해 의도적으로 소리를 삽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우주선이 폭발하거나 레이저 무기가 발사될 때 울리는 소리는 실제로는 들리지 않지만, 관객의 감정과 긴장을 자극하기 위해 시각과 함께 청각 효과도 함께 쓰는 것이죠. 사실에 기반한 영화일수록 이러한 소리를 줄이거나 완전히 없애는 연출을 택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영화 그래비티에서는 우주 장면 대부분에서 실제처럼 소리를 제거하고, 비현실적인 장면은 음악으로 대체한 연출로 극찬을 받았습니다. 이처럼 우주의 ‘침묵’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영화는 오히려 현실감과 몰입감을 높이는 방식으로 평가됩니다.
정리하며
우주에서 소리는 기본적으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진공 상태에서는 소리를 퍼뜨릴 수 있는 물질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전자기파를 가청 주파수로 변환해 우주의 움직임을 청각적으로 표현하고 있고, 우주 안의 일부 영역에서는 실제로 소리가 전달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듣는 ‘우주의 소리’는 진짜 음파라기보다는, 우주의 신호를 해석하는 하나의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이야기 예고
다음 글에서는 “별은 왜 빛날까?”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우리가 밤하늘에서 바라보는 별빛의 진짜 정체를 파헤쳐 보겠습니다.